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섬유유연제의 '유해 물질', 알고 쓰시나요?
    카테고리 없음 2023. 3. 22. 17:19

    우리가 매일같이 세탁할 때 사용하는 섬유유연제.
    수건 등을 향긋하고 부드럽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으레 세정제와 함께 당연하게 사용되는 보조 세제다.
    그런데 이런 섬유유연제에 유해 물질이 있다는 사실은 얼마나 알려져 있을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섬유유연제에 포함된 대표적인 유해 물질들을 알아보고
    어떻게 하면 우리 몸에 조금이라도 덜 해롭게 사용할 수 있을지,
    그리고 섬유유연제를 구매 할 때는 어떤 부분들에 주의를 기울이면 좋을지 알아보겠다.

     

     


    【섬유연제의 유해물질

     

    1. 벤질 벤조에이트
    이, 진드기 등을 퇴치하기 위한 피부 연고에도 사용된다.
    살균 성분이 있어서 모기 약 등에도 쓰이는 성분이다. 
    일부 섬유유연제에서 사용되며, 인공적인 화합물로 인체에 대해 잠재적 위험성을 갖고 있다.
    벤질 벤조에이트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되며, 호르몬 생산과 분비를 방해해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상호작용하면 유방암 등의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세탁물에 벤질 벤조에이트가 남아있는 경우 옷이 피부에 닿으며 흡수될 수 있으며 피부 예민성,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벤질 벤조에이트 성분과 분자식

     

     

    2.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이 물질은 호흡 또는 피부로 흡수되며, 피부와 점막을 자극하고 간이나 신장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산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며 벤잘 처리액 저장 탱크, 합성 피혁 공장 등에서 사용된다.

    3.  파라벤
    파라벤 (Paraben)은 방부제로 주로 사용된다. 미생물 억제에 굉장히 효과적인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등에 많이 사용되는데, 한국유방암학회는 영국에서 2014년 발표된 연구 결과를 두고 "고농도의 파라벤이 DNA 손상을 일으켜 암을 유발하는게 증명됐다"고 평가했다. 
    일반 화장품에 포함된 파라벤은 훨씬 저농도라 안심하고 사용해도 된다는 주장도 함께 있다. 

     

    안전성이 아직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은 파라벤.

    4. 페녹시에탄올
    파라벤과 마찬가지로 미생물 억제를 통한 방부제의 역할로 사용된다. 
    페녹시에탄올이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피부 자극,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또 흡입하거나 먹을 경우 호흡기나 소화기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고농도로 노출될 경우 중추신경계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에 해로울 수 있다. 

    5. 코발트
    단단하고 광택이 나는 은회색 금속이다. 
    섬유유연제에 일반적으로 들어가는 코발트 양은 1kg 당 0.01ppm~5ppm 정도로 매우 작은 편이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 코발트가 과민반응을 일으켜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및 천식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코발트 함유량에 대한 규제가 있다.
    과민 반응이 심각해질 경우에는 체내 적혈구 감소, 간 손상 및 신장결석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섬유유연제 이외에도 코발트가 함유된 화장품, 악세서리, 의료용 기구 등의 노출에 주의해야 한다.

     

     

     

     

    6. 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아마이드는 섬유유연제에서 안정제로 사용되어 제품의 무게를 조절하고, 유연제가 균일하게 섞이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아크릴아마이드는 일부 연구에서 내분비계 및 신경계 위험성과 연관될 수 있으며 암 발생에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 
    (출처:Acrylamide and Polyacrylamide: A Review of Production, Use, Environmental Fate and Neurotoxicity, Eldon A. Smith, and Frederick W. Oehme, Published by De Gruyter October 1, 1991, From the journal Reviews on Environmental Health)
    국제암연구소에서도 발암가능성이 높은 물질로 분류했다.

     

    위에 나열한 유해물질 외에도 섬유유연제에는 여러가지 화학물질이 들어가 있다.
    따라서 암 환자, 노약자, 어린이, 임산부 등이 사용할 경우에는 성분 구성을 미리 체크할 필요가 있다.

     

     

     

    【섬유유연제,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그렇다면, 이미 사용하고 있는 섬유유연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포함된 유해 물질들이 극소량이어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거나 적다고 해도, 그냥 사용하기는 불안한 것이 사실이다. 
    어떻게 하면 좀 더 안전하게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1. 야외에서 건조하는 것이 좋다.
    2. 실내에서 건조할 때는 반드시 향이 다 빠져나갈 때 까지 환기를 한다. 
    3. 빨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도 좋다. 
    4. 제품에 표시된 권장량 이상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5. 가급적 덜 사용하도록 한다. 

     

     

    【어떤 섬유유연제를 구매해야 할까?】
    예를들어, 섬유유연제에 따라서는 성분에 유해물질인 '아크릴아마이드' 같은 것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제품도 있다.
    큰 회사의 유명한 제품이나 향기가 마음에 든다고 제품을 선택하기보다, 어떤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꼼꼼하게 따져보는 것
    이 좋다.
    파라벤 등과 같은 유해성이 있는 방부제보다 천연 방부제
    가 섞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신생아 섬유유연제, 임산부 섬유유연제, 천연 섬유유연제 등으로 찾아볼 경우 유해성분이 적은 제품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

     

Medielder by noname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