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관 "팝콘"의 숨겨진 위험, 알고 계시나요?카테고리 없음 2023. 4. 14. 17:27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규제가 풀렸고, 영화관도 그 중 한 곳에 해당한다.
영화관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 간식, 바로 <팝콘>.
그런데 이 팝콘에 몸에 유해한 물질이 들어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 얼마나 알려져 있을까?
이번 포스트에서는 팝콘이 왜 몸에 해로울 수 있는지 알아보자.※본 글에서 언급하는 팝콘의 유해성은 제조방법, 보관방법, 원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아크릴아마이드' - 장기간 섭취시 암 발생 가능성
아크릴아마이드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암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기 때문에 EU 등 여러 나라에서는 식품에서 함량을 0.1마이크로그램/kg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팝콘은 제조 과정에서 고열과 아미노산의 반응으로 아크릴아마이드가 생성될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인 팝콘 제조시 섭씨 180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2분 이상 가열되는데, 이러한 조건에서 아크릴아마이드 발생이 더 높아지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섭씨 160도 이하로 낮추거나 가열 시간을 1분 이내로 줄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출처:식약처) 또한 팝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름의 종류도 중요하다.
한 연구에서 여러 종류의 기름을 사용하고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양을 비교한 결과 팜유와 코코넛오일에서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이 많았으며 콩기름, 올리브오일에서는 적게 생성되었다.
따라서 팝콘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기름도 유해성 여부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참고 : "Acrylamide Formation in Fried Potato Crisps and French Fries - Effects of Raw Material, Processing, and Seasonal Variation"(2017)2. 버터맛 향료, 디아세틸(Diacetyl) - 호흡기에 해로운 물질
디아세틸은 버터, 치즈, 캐러멜의 향을 내는 데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팝콘의 버터맛을 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아세틸을 마시거나 식품으로 섭취할 때 미세한 입자가 호흡기로 들어가면서 기관지 염증을 유발하거나 호흡곤란, 기침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EU와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디아세틸의 식품 함량을 제한하고 있다.만약 고소한 팝콘을 만들고 싶다면 디아세틸 대신 자연의 버터나 치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영화관 등 대부분의 팝콘에는 디아세틸이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식품을 섭취하기 전에 미리 성분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참고 : Morgan, D. L., Jokinen, M. P., Price, H. C., Gwinn, W. M., & Bousquet, R. W. (2007). Toxicity of diacetyl and its metabolic products, 2, 3-butanedione and 2, 3-pentanedione, in tissues and biofluids collected from rats following 4 weeks of inhalation exposure. Toxicological Sciences, 97(1), 89-99.3. 잘못 보관할 경우 미생물에 오염될 수 있다.
유동인구가 많은 한국 영화관의 팝콘의 경우 보통 3일 이내에 만들어진 팝콘을 폐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교적 보관 시 오염에서 자유로운 편이다.
그러나 팝콘은 습기가 없고 직사광선을 피해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기 때문에, 이것을 지키지 않거나 너무 오랫동안 보관된 팝콘을 먹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가급적 공기중에 노출된 것 보다 온전하게 밀폐된 용기에 담겨져 있는 것을 먹는 것이 더 낫다.
Beuchat, L. R., & Ryu, J. H. (1997). Produce handling and processing practice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3(4), 459.이 외에도 팝콘을 장기적으로 과하게 먹을 경우 나트륨과 지방을 과하게 섭취해 비만,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 등 건강 문제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인공적으로 맛을 내가 위한 첨가제와 조미료가 많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많이 먹는 것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참고 : Appel, L. J., Moore, T. J., Obarzanek, E., Vollmer, W. M., Svetkey, L. P., Sacks, F. M., ... & Bray, G. A. (1997). A clinical trial of the effects of dietary patterns on blood pressur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6(16), 1117-1124.그렇다면 팝콘을 어떻게 먹어야 할까?
전 세계적으로 옥수수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국가는 미국이다.
그러나, 미국산 옥수수는 GMO(유전자변형)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한한 국산 옥수수로, 올리브유를 사용하여 160도 이하에서 기타 첨가물 없이 1분 이내로 조리할 경우 유해성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팝콘은 습기가 없는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하며 만들어진 날짜로부터 3일 이내에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밖에서 팝콘을 사먹을 경우 만들어진 환경과 첨가 성분을 확인하는 것이 좋으며, 나트륨과 지방을 과하게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 적은 양을 먹는 것이 좋다.